B R A i N S t E M's blog

Thursday, September 03, 2020

2020년 36주차 환경소식

  ★ 내년 환경부 예산 11조…4.5조는 ‘그린뉴딜’


올해보다 17.5% 늘어…“기후위기 대응·녹색산업 성장에 집중”

내년 환경부 소관 예산과 기금이 총 11조777억원으로 편성됐다. 한 해 전보다 17.5% 증액된 것으로 역대 최다 규모다. 예산 중 4조5천억원이 ‘그린뉴딜’ 관련이다.

----------

★ 대구 물 산업 국제행사 취소·연기·축소 잇따라

대구시는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라 하반기로 연기한 물 산업 관련 행사를 취소하거나 더 연기하기로 했다.

----------

★ 광주시, 그린리모델링사업 본격화

광주광역시가 국토교통부에서 주관한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공모사업에 국공립 어린이집 2개소, 보건소 3개소 등 총 5개 사업이 선정됐다.

광주시는 이번 사업이 오는 2045년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추진 중인 ‘광주형 그린뉴딜 종합계획’의 마중물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광주형 그린뉴딜 종합계획’은 광주시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2030년까지 2010년대비 45% 감축하고 2045년에 탄소중립(Net-Zero) 도시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이다.

이 계획은 △IDEA(인프라 Infra, 데이터 Data, 환경시설 Environ, 인공지능 Ai)를 기반으로 시민 모두가 녹색에너지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녹색전환도시 △녹색전환을 통해 온실가스 순 배출량을 제로화하고 기후위기 대응을 통해 기후재난으로부터 가장 안전하고 쾌적한 기후안심도시 △녹색산업 육성으로 시민의 삶과 일자리를 지켜주고 소외받는 일자리를 다시 일으켜주는 녹색산업도시 등 3대 전략으로 추진하게 된다.

----------

☆ 몽골 - 수도권 대기질 전문 점검관리 공조장비 조달 프로젝트

공고명 : 몽골, 수도권 대기질 전문 점검관리 공조장비 조달 프로젝트

                (Нийслэлийн худалдан авах ажиллагааны газар)

마감일자 : 2020년 9월 17일 8:30 현지시각


----------


★ UNEP launches “Green Nudges” programme for universities

http://www.unenvironment.org/news-and-stories/press-release/unep-launches-green-nudges-programme-universities




Thursday, August 27, 2020

2020년 35주차 환경소식

 ★ 수도권 생활폐기물 반입총량제 첫 시행…기초지자체 10곳 올 반입량 초과

http://www.iloveorgani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2325

환경부 “현 추세 지속될 경우 58개 기초지자체 중 37곳 총량 초과 우려”

반입총량제는 최근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생활폐기물의 반입량을 줄이기 위해 2019년 7월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운영위원회(위원장: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사장)의 의결을 거쳐 올해 처음으로 시행하고 있다.

----------

★ 환경부, '환경데이터 활용 그린뉴딜 아이디어 공모전' 수상작 발표!
http://theleader.mt.co.kr/articleView.html?no=2020082411117841041

대상, ‘지능형 누수관리’ 다룬 ‘위플랫’팀 수상

올해로 7회째를 맞는 이번 공모전은 ‘환경데이터로 대한민국 환경을 부탁해!’라는 주제로 아이디어 기획과 제품·서비스 개발 등 2개 부문으로 나누어 4월 27일부터 7주간 공모가 진행되었으며, 총 86팀이 응모했다.

최종 경연 결과, 대상은 ‘지능형 누수관리 온라인 플랫폼’을 개발한 ‘위플랫’팀에게 돌아갔다.

‘지능형 누수관리 온라인 플랫폼’은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 클라우드 기술과 공공데이터포털에 등록된 환경데이터를 활용하여 누수탐사 전문가 도움 없이도 누수를 쉽게 찾고 관리할 수 있어 호평을 받았다.

----------

★ Devastated by pandemic, tourism sector must be rebuilt in a safe, equitable and climate friendly way – UN chief
http://news.un.org/en/story/2020/08/1070902

Tourism is much more than visiting cultural landmarks or swimming in tropical beaches; it is “one of the world’s most important economic sectors”, the UN chief said on Tuesday.


Friday, August 14, 2020

2020년 33주차 환경소식

 


★ 주차장 바닥에 웬 원뿔? 광화문식 물난리 없는 수원의 비결
http://news.joins.com/article/23848592

물의 도시' 수원(水原)의 LID 실험

수원시는 2014년 장안구청, 2016년 시청과 인근 보도, 주차장에 투수성 보도블록과 콘크리트를 깔았다. 청사 건물 옥상엔 ‘옥상 정원’을, 지상엔 빗물을 모아 배출하는 ‘빗물정원’을 꾸몄다. ‘물의 도시’를 표방하는 수원시가 추진하는 '레인시티 수원' 사업의 일환이다. 

물의 순환을 도와 홍수를 막고 오염을 줄이는 저영향개발(LID, Low Impact Development) 기법을 적용한 것이다. 수원시 관계자는 "LID를 도입한 결과 시청 부지 내 빗물 침투량은 191% 늘었고 표면 유출량은 16.9% 감소했다"며 "동시에 녹지가 늘면서 공무원은 물론 시민도 휴식공간으로 자주 찾고 있다"고 말했다.

LID는 도시 내 조경 공간과 유수 시설을 확보해 물 순환 상태를 최대한 개발 이전에 가깝게 유지하는 게 목표다. 도심 홍수를 막는 효과도 크다. 도시가 폭우 피해에 노출된 이유 중 하나는 지면이 물을 머금지 못하는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구조물로 덮여있기 때문이다. 

LID 기법은 도시에 물이 침투할 수 있는 지면인 '투수면'을 늘리는 데 중점을 둔다. 물이 흡수되는 보도블록, 투수통을 설치하고 녹지를 확보해 폭우 시 빗물이 자연스럽게 땅에 스며들게 돕는다.



공주대 김이형 교수(도시교통공학과)는 "LID는 도시의 열섬 현상을 해소하고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한편 수질을 개선하는 효과도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세종시와 대전시, 울산시도 LID를 적용한 도시 개발을 추진 중이다.

----------

★ 경산시, 물 처리 선진도시 꿈꾼다

공공하수처리시설 민간투자사업 10일 착공···총사업비 396억
총사업비 440억원 고도정수처리장도 준공

경산시는 13일 오전 총사업비 440억원 규모의 경산정수장 내 고도정수처리시설 준공식을 가졌다. 

안전하고 맛있는 수돗물을 공급할 고도정수처리사업은 지난 2013년 3월 환경부 시범사업에 선정되어 경산정수장 부지에 총사업비 440억원을 투입, 2017년 10월에 착공해 연면적 5484㎡의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로 건립됐다.

이번에 준공되는 고도정수처리시설은 기존의 표준정수처리 공정에서 제거가 어려운 맛, 냄새물질 등을 처리하고 잔류항생제 등 신종유해물질에 대처할 수 있는 막여과시설, 오존접촉시설, 활성탄흡착시설을 설치하여 시민들에게 보다 깨끗하고 맛있는 수돗물을 공급하게 된다. 

이에 앞서 경산시는 지난 10일에는 총사업비 396억 8200만원 규모의 경산시 공공하수처리시설 민간투자사업을 착공했다.

지속적인 인구증가에 따른 안정적인 하수처리를 위한 경산시 공공하수처리시설(증설) 민간투자사업은 총인처리시설 포함해 1일 2만 5000톤 처리규모의 공공하수처리시설로 관리운영권 설정기간은 20년, 총사업비는 396억 8200만원 규모다. 

Friday, August 07, 2020

2020년 32주차 환경소식

 



★ 작년 공공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기준배출량 대비 23.5% 줄었다 
http://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2008055384Y 

2018년 감축률보다 3.9%포인트 높아…충남 서천군 감축률 1위

공공부문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 대상 중앙정부·지방자치단체 782개 기관의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이 기준 대비 20%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 [특집] ‘그린뉴딜’에 친환경 수열에너지가 주목받는 이유

혹서와 한파 대비 경제적인 에너지원으로 급부상

그린뉴딜이 새로운 환경생태계를 재편할 전망이다.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동시에 고용창출을 꾀하기 위해 정부는 그린뉴딜을 표방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2027년에 완공을 목표로 소양강이 흐르는 강원도 춘천에 ‘강원 수열에너지 융복합클러스터’가 조성될 예정이다. 

수열에너지는 물이 여름에는 대기보다 차갑고 겨울엔 따뜻한 특성을 이용해 냉난방에 활용하는 친환경 에너지다. 즉 해수·하천수·지하수·발전 온배수 등 물이 가지는 열에너지를 의미한다. 

그동안 수열에너지는 ‘신재생에너지법’에 따라 해수(海水)의 표층열을 변환시켜 얻어지는 경우에만 재생에너지로 인정받았다. 그러다가 지난해 10월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시행령이 개정되면서 하천수도 수열에너지에 포함돼 그 확장성에 새로운 전환기를 맞이하게 됐다. 

환경부는 지난 6월 30일 수열에너지 시범사업과 제도개선, 기술개발, 사업지원단 운영 등 중장기 실행계획을 담은 ‘친환경 수열에너지 활성화 방안’을 국무회의에 보고했다. 이를 토대로 향후 공공기관 신재생에너지 의무비율, 제로에너지 건축물 확대 등 정부정책과 연계한 지속적인 확산도 기대하고 있다.

---------

★ The Challenge of Tracking How a Trillion Trees Grow

Recent studies have found that there are billions of sparsely scattered trees in rural areas that we couldn't see with conventional remote sensing approaches. By including those trees in global data, we can paint a more comprehensive picture of tree cover gain and loss.

Thursday, July 30, 2020

2020년 31주차 환경소식

★ 전국 435곳 정수장 전수조사... 환경부 “수돗물 문제 없다”
http://www.hg-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9020

인천 266곳 일반정수장 모두 조사... 유충 발견 안돼
최근 유충 신고... 하수구 막힘, 욕조 하부 물 고임 등 원인

환경부 관계자는 “유충 발견 민원이 이어지고 있지만 수돗물 공급 계통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발견된 벌레는 실지렁이, 나방파리 등이다. 주로 하수구 막힘, 욕조 하부 물 고임 등의 원인으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

★ 친환경새싹기업 지원 사업 설명회 개최
http://www.ecotig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612

인천 환경산업연구단지 대강당에서 7월 28일 사업 설명회 개최

설명회의 주요 내용은 영상으로도 제작해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누리집(www.keiti.re.kr)에서 볼 수 있도록 8월 4일 게재할 예정이다.

이번 설명회에 따른 공모는 현재 환경부(me.go.kr) 및 한국환경산업기술원(www.keiti.re.kr) 누리집에 공고 중이며, 신청서는 8월 3일부터 8월 18일까지 이메일(eco-startup@keiti.re.kr)로 접수받는다.

이번 사업설명회에 참가하지 못한 예비창업자 및 초기창업기업도 맞춤형 상담을 상시 제공받을 수 있다. 상담을 원하는 기업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연구단지기획실(032-540-2141)에 문의하면 된다.

----------

★ 의정부시, 수도시설 확충 및 상수도 시설물 정비 추진
http://www.gbtopnews.net/front/news/view.do?articleId=ARTICLE_00019394

가능1동 흥선로6번길 및 의정부2동, 불량관 정비공사 추진

28일 시에 따르면, 우선 40억 원여를 투입해 매설 년도가 오래되어 누수 및 적수로 인한 민원 발생이 잦은 곳을 대상으로 불량관 정비공사를 추진한다. 대상 구간은 가능1동 흥선로6번길 및 의정부2동으로 1987년도 신시가지 조성당시 매설된 경의로55번길, 범골로107번길, 의정로110번길 등이다.

----------

★ Seven young climate activists to take formal seat at UN table in Secretary-General’s new Youth Advisory Group on Climate Change
http://www.linkedin.com/posts/unep_climatecrisis-activity-6693762070854299648-DxYL


United Nations Secretary-General António Guterres has announced the names of seven young climate leaders who will advise him regularly on accelerating global action & ambition to tackle the worsening #ClimateCrisis: https://bit.ly/3jFRXXj

Friday, July 10, 2020

2020년 28주차 환경소식

★ 그린뉴딜, "모든 것이 변하기 전에는 변할 수 없다"
http://www.lifein.news/news/articleView.html?idxno=10756

녹색소비자연대의 제16회 목적과사업연구회가 6일 광화문 센터포인트(RoomB)에서 열렸다.
이날 행사는 '그린뉴딜의 동향과 과제'를 주제로 유종일 KDI 국제정책대학원장과 이창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발제한 뒤 '그린뉴딜과 녹색소비 실천과제연구'를 주제로 한 패널토의로 진행됐다.

----------

★ 환경부, 비가 내릴 때 넘치는 생활하수... 체계적 관리
http://www.localtoday.co.kr/174565

하수도정비기본계획에 강우 시 하수처리 대책 수립 등을 담은 ‘하수도법’ 개정안 국무회의 의결

첫째, 강우 시 하수처리시설의 용량을 초과해 빗물과 함께 월류되는 하수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지자체장에게 하수도정비기본계획을 수립할 때 강우 시 하수의 처리에 관한 사항을 검토하도록 하고 수질 및 수량을 관측해야 하는 의무를 부여했다.

둘째, 점용허가를 받지 않고 공공하수도를 점용하거나 점용허가 기간이 만료된 자 등에 대해 지자체장이 공공하수도의 원상회복을 명할 수 있도록 하고 불이행 시 대집행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

셋째,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에 따라 토지사용재결을 받아 공공하수도 설치사업을 추진하는 경우 해당 토지에 대한 구분지상권을 설정할 수 있게 됐다.

넷째, 건축물에서 발생하는 하수를 하수관로에 연결하기 위해 설치하는 배수설비는 당초 신고한 수질이나 수량이 일정 기준 이상으로 변경될 경우에 변경 신고하도록 했다.

그 밖에도 개인하수처리시설 등에 대해 행정기관의 수리가 필요한 신고임을 명확화하고 개인하수처리시설 관리 유지에 필요한 운영기구 설치신고에 대해 신고 간주제를 도입하는 등 현행 제도의 부족한 점을 개선했다.

----------

★ 도심 곳곳에 스마트 정수장…깨끗한 물 곧바로 먹는 `K-베니스`
https://www.mk.co.kr/news/realestate/view/2020/06/670072/

부산에코델타시티 순항

수질·수량 실시간 모니터링
ICT 결합 친환경 수변도시
낙동강변에 여의도 4배 조성

부산 스마트시티에는 최첨단 강우 예측 레이더를 설치하고 물 재해 관리 시스템도 도입할 방침이다. 도시에 내리는 빗물 양을 실시간으로 분석해 홍수를 사전 예측하는 등 물 관리에 능한 물의 도시 `K-베니스`로 조성하겠다는 복안이다.

----------

★울산시, 구·군 대상 도시재생 뉴딜 사업 공모…120억 투입
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2006303334Y

울산시가 국토교통부로부터 도시재생 뉴딜 사업비 120억원을 배정받아 7월부터 10월까지 도시재생 뉴딜 사업을 공모한다고 30일 밝혔다.

Friday, June 19, 2020

2020년 25주차 환경소식

★ “기존 건축물에 대한 그린리모델링 확대해야”
http://www.kmec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421

대한설비공학회, 제17회 설비포럼 개최

오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574.3백만톤으로 낮추기 위해 기존 건축물에 대한 그린리모델링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 과기부 ‘미세먼지 R&D추진전략’ 수립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A%B3%BC%EA%B8%B0%EB%B6%80-%EB%AF%B8%EC%84%B8%EB%A8%BC%EC%A7%80-rd%EC%B6%94%EC%A7%84%EC%A0%84%EB%9E%B5-%EC%88%98%EB%A6%BD%EC%9B%90%EC%9D%B8%EA%B7%9C%EB%AA%85-%EA%B8%B0%EC%B4%88/

원인규명 기초연구 강화

정부가 미세먼지의 배출량과 발생 시기 등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도록 원천기술 연구개발(R&D)을 추진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2일 ‘미세먼지 R&D 추진전략(2020∼2024)’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추진전략은 ▲ 원인 규명 기초 연구 강화 ▲ 관리기반(측정, 예보, 배출량) 고도화 ▲ R&D 성과 분석 및 원천기술 개발 등 3개 전략으로 구성됐다.


★ 환경 빅데이터 활용 대국민 공모전
http://www.ccdail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72389

한국수자원공사가 15일부터 오는 8월 31일까지 '환경 빅데이터를 활용한 대국민 공모전'을 연다.

공모 분야는 △물·자연 등 환경 정보를 활용한 대국민 서비스·사업 모형(모델) 기획 및 개발 방안 △환경 매체 간 또는 문화, 산림 등 타 분야와 정보를 융합해 새로운 정보를 줄 수 있는 융합 정보(데이터)의 기획 및 결과물 등 2개다.


Wednesday, May 27, 2020

2020년 22주차 환경소식

★ 文 "'그린 뉴딜'로 성장토대 만들 것...6월중 3차 추경안 처리"
http://www.joseilbo.com/news/htmls/2020/05/20200525398744.html

2020 국가재정전략회의 "재정, 경제회복 앞당기는 마중물 역할 해야"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 앞서 준비"...일자리 창출 '그린 뉴딜' 강조
"충분한 재정 투입, 길게 볼 때 GDP대비 국가채무비율 악화 막는 길"


★ 원주환경청, 알기 쉬운 환경법령 위반 사례집 발간
http://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89346

환경부 원주지방환경청이 사업장에서 자주 발생하는 환경법령 위반사례를 수록한 ‘환경법령 위반사례집’을 발간했다.
25일 원주환경청에 따르면 지난해 360개소의 배출업소를 점검, 120개소의 위반업소를 적발(위반율 33%)하고 이 중 20개 업소는 자체 수사해 검찰에 송치했다.
이에 사업장 스스로 위법 사항을 점검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지역 배출업소를 대상으로 위반사례집을 제작‧배부하게 됐다.
위반사례집은 대기, 수질, 폐기물 등 3개 분야로 구성돼 있고 분야별로 사업장에서 반드시 지켜야 할 핵심 사항들을 요약‧정리했다.

Friday, May 15, 2020

2020년 20주차 환경소식

★ 광주시, 올해 빗물저금통 설치 사업 추진
https://www.lafent.com/inews/news_view.html?news_id=126476

광주광역시는 지붕 등에 내린 빗물을 저장탱크에 모아 텃밭용수, 조경수 등으로 활용하는 ‘2020년도 빗물저금통 설치 지원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이번 빗물저금통 설치 지원 대상은 일반 건축물은 지붕면적 1000㎡ 미만, 공동주택은 건축면적 1만㎡ 미만, 학교는 건축면적으로 5000㎡ 미만(신축 제외)이다.


★ 동대문구, 주택개량으로 도시재생에 박차
http://www.lc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660

동대문구(구청장 유덕열)가 다양한 사업을 통해 지역 내 도시재생 뉴딜사업 대상지의 주거환경 개선에 박차를 가한다.
구는 이달부터 10월까지 ‘2020년 제기동 감초마을 주택개량 지원사업’을 추진한다. 도시재생사업비 총 4억 원을 투입해 주택 가구당 공사비용의 90% 최대 1117만 원까지 지원한다.

★ 대책 발표 1년도 안 됐는데 온천천 물고기 500여 마리 떼죽음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0050619095676364

5일 연안교~연산교 일대
6일 부산지역 환경단체 온천천네트워크와 생명그물 등에 따르면 5일 오전 부산 동래구 연안교~연산교 일대 온천천에서 숭어 치어 등 물고기 500여 마리가 집단 폐사했다.


★ “첨단 환경기술(ET) 한눈에!” 제42회 국제환경산업기술&그린에너지展
http://www.ecob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011

‘ENVEX2020’, 6월17~19일 서울 Coex A홀에서 개최

ENVEX2020,수출상담 및 발전사 구매상담회 등 개최
환경보전협회, ‘해외수출 및 내수시장 개척지원’ 괄목

환경보전협회,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한국환경공단,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한국수자원공사 환경산업협회 6개 환경기관 등 공동주최


★ 文 “그린 뉴딜로 많은 일자리 가능”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00514009031

코로나 예산으로 일자리 창출·탄소 저감

환경·산업·벤처·국토부 주말께 합동보고

‘그린 뉴딜’이란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투입되는 예산이 탄소 저감을 촉진하는 동시에 새 일자리를 창출하는 데 쓰여야 한다는 개념이다.

Friday, May 08, 2020

2020년 19주차 환경소식

★ 수원시에서는 물·에너지·폐기물도 자원
http://www.newsq.kr/news/articleView.html?idxno=16216

환경수도를 목표로 한 수원시는 다양한 자원을 관리하는 시스템 마련에 주력해 왔다. 특히 물과 에너지, 폐기물 등을 적절하게 이용해 자원의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데 주력해 왔다.

◇물 순환으로 도시를 건강하게
이후 사람과 물, 자연이 함께하는 안전한 물 순환 도시를 목표로 한 레인시티 사업은 시민참여와 IT 기술 기반이 결합되면서 빗물주유기, 노면살수시스템 등을 원격제어할 수 있는 단계까지 이르렀다.
이에 더해 수원시는 레인시티 뿐만 아니라 통합 물관리 정책과 물환경 네트워크 운영 등 물 순환 분야를 선도하는 지자체로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착한 에너지로 대비하는 미래
에너지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안은 여름철 뜨거운 도심 온도를 낮추는 ‘그린커튼’ 사업이 대표적이다.
건물 창가에 녹색식물을 식재해 태양광을 차단함으로써 실내온도를 3도씨 이상 낮추고 전기에너지를 절감하는 효과를 거두는 그린커튼 사업은 수원시의 ‘히트상품’이다.

◇쓰레기도 자원이 되는 도시
수원시는 날로 늘어만 가는 생활폐기물을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노력을 병행하며 환경수도로서의 모범을 보이려 노력하고 있다.
생활폐기물을 적절하게 처리하기 위한 자원순환센터와 자원회수시설, 음식물자원화시설 등이 그 주축이다.


★ 주차장 668면 파헤친 제주도...종합경기장에 무슨 일이
http://www.jejusori.net/news/articleView.html?idxno=315363

[독자의소리] 멀쩡한 주차장 뜯어내 혈세 낭비 지적...제주도 “그린 빗물 인프라 조성 사업”
자동차등록 관련 업무를 위해 얼마 전 제주종합경기장을 찾은 A(38)씨는 멀쩡한 주차장을 파내고 다시 포장공사를 하는 모습을 보고 의아해 했다.


★ 원주환경청 비점오염관리센터 운영
http://www.kado.net/?mod=news&act=articleView&idxno=1020841

원주환경청(청장 홍정섭)은 28일 도내지역 고랭지밭 흙탕물 발생을 저감하기 위해 비점오염관리 연구·지원센터를 설립해 시범운영한다고 밝혔다.


★ 경북도, 23개 시군 도시재생 밑그림 나왔다
http://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84771

경북도내 23개 시․군 도시전역의 도시재생 전략계획 수립

경북 도내 도시재생 활성화지역(26.14㎢) 129곳은 포항시 2, 경주시 5, 김천시 10, 안동시 3, 구미시 13, 영주시 7, 영천시 6,상주시 6, 문경시 7, 경산시 7, 군위군 3, 의성군 6, 청송군 4, 영양군 5, 영덕군 11, 청도군 4, 고령군 5, 성주군 3 칠곡군 4, 예천군 5, 봉화군 3, 울진군 7, 울릉군 3곳 등이다.


☆ [국내입찰정보] 한강지역 생태공원 토양오염도 검사 용역
http://keia.kr/bbs/board.php?bo_table=b3&wr_id=3484

공고번호 : 제20200502001- 00호

http://www.g2b.go.kr:8081/ep/invitation/publish/bidInfoDtl.do?bidno=20200502001&bidseq=00&releaseYn=Y&taskClCd=5

Tuesday, April 28, 2020

2020년 17주차 환경소식

★ 수원 ‘그린빗물 인프라’공사 “무법천지”
http://www.kg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82786

관리단 삼안·시공사 우방산업
매탄 등 4개 동에 화분·도랑 조성
자재·대형장비 차·인도 무단 점거
흙더미 등 각종 공사 폐기물 방치

시민들 차도 곡예보행·먼지 고통
수원시, 발주사업 대책커녕 민원 뒷짐


☆ [국내입찰정보] 2020년 대기오염물질 오염도(먼지)검사 측정 용역
http://keia.kr/bbs/board.php?bo_table=b3&wr_id=3448

공고번호 : 제20200431543- 00호

http://www.g2b.go.kr:8081/ep/invitation/publish/bidInfoDtl.do?bidno=20200431543&bidseq=00&releaseYn=Y&taskClCd=5

Thursday, April 16, 2020

2020년 16주차 환경소식

★ 수자원공사, 신기술 혁신벤처 중소기업 ‘러브콜’
http://www.ce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23818

중소벤처기업 지원제도 참여 기업 및 등록신기술 공모
4차 산업혁명 연계기술, 스마트 시티 관련 기술 중점 지원

한국수자원공사(사장 박재현)는 국내 물산업 육성을 위해 13일부터 ‘2020년 상반기 물산업 중소벤처기업 기술개발 지원제도’ 참여 기업과 ‘2020년 상반기 한국수자원공사 등록신기술’을 온라인으로 공모한다고 최근 밝혔다.

먼저, ‘2020년 상반기 물산업 중소벤처기업 기술개발 지원제도’의 공모분야는 ▲성과공유제 ▲물산업기자재공급자등록제도 ▲구매 조건부 구매연계형 ▲구매조건부 공동투자형이다.

공모 자격요건과 필요서류, 접수 방법 등은 수자원공사 물산업플랫폼 시스템(www.kwater.or.kr/wis)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수자원공사 물산업플랫폼센터(042-629-2531)로 문의하면 된다.


★ 새만금 수질, 농업비점오염원 차단 관건
http://www.jeolla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596009

<전북 강살리기 추진단, 농업비점오염원 관리 현황>새만금유역 대규모 영농활동 농업 비점오염원 발생률 ‘70%’ 오염원 저감 거버넌스 구축

새만금 호 목표 수질 달성을 위한 2단계 수질개선대책이 끝나는 올해 전북도는 3단계 수질개선 종합대책 사업 필요성을 제기하고 나섰다.

■ 수질오염
수질오염은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에 의해 발생된다. 점오염원은 오염물질의 유출경로가 명확하여 예측과 관리가 다소 용이한 오염원을 말한다. 반면, 비점오염원은 장소를 특정할 수 없이 넓은 면적에 걸쳐 다수의 공급원에서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뜻하며, 농지에 살포된 농약, 축사에서의 유출물, 도로상 오염물질, 도시지역의 먼지와 쓰레기, 그 밖의 지표상 퇴적오염물질 등이 빗물과 함께 유출되어 수질오염을 유발하는 것을 의미한다.

■ 농업비점오염원
농업비점오염원은 통상적으로 비점오염원 중에서 논, 밭, 과수원, 초지, 비닐하우스 등과 같은 농경지에 살포된 농약, 비료, 가축분뇨 퇴액비의 발생과 농경지의 토양유실 등을 포함하는 농업활동과 관련된 불특정 오염발생원을 말한다.

■ 농업비점오염원의 특징
농업비점오염원은 평시 또는 강우 시 발생되는 물과 함께 배수로나 하천, 저수지로 유입되는데, 자연적인 조건(강우의 세기와 양, 토양의 성질, 지형조건 등)과 인위적인 조건(토지이용상황, 관개 및 배수, 영농행위 등)이 얽히며, 오염을 발생시키게 된다.


☆ [국내입찰정보] 부여군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제4단계 및 제3단계 추가)수립 연구용역

http://keia.kr/bbs/board.php?bo_table=b3&wr_id=3423

공고번호 : 제20200420925- 00호

http://www.g2b.go.kr:8081/ep/invitation/publish/bidInfoDtl.do?bidno=20200420925&bidseq=00&releaseYn=Y&taskClCd=5

Thursday, April 09, 2020

2020년 15주차 환경소식

★ [기자수첩] 비점오염원 근본적 저감…생활속 실천이 답이다
http://www.energy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7401

환경영향평가 대상사업장과 1만㎡ 이상 제철시설·섬유염색시설 등 폐수배출시설 설치 사업장 등을 비점오염원 설치신고 대상으로 지정・관리하고 있다.

오는 10월 17일부터 비점오염저감시설 성능검사 제도를 시행한다. 저감시설 성능을 객관적으로 검증하고 관련 기술개발을 촉진하기 위해서다.

다만 비점오염원을 근본적으로 줄이기 위해서는 이 같은 정부의 정책적 노력외에도 우리의 일상에서 습관적으로 비점오염물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인식개선도 필요하다.


★ 경남도, 낙동강 녹조 발생 선제적 대응
http://www.localtoday.co.kr/170462

경남도, 낙동강 녹조 발생 선제적 대응
물금·매리, 조류경보 발령지점 추가 지정

경상남도는 봄철 이상고온 현상과 가뭄 등으로 녹조 조기 발생이 우려됨에 따라 도민 불안을 원천 차단하고 녹조 조기 발생에 선제로 대응하기 위해 “2020년 낙동강 녹조발생 예방 및 대응계획”을 시행한다고 7일 밝혔다.

기상청은 올해 5∼7월 중 기온은 평년보다 높고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적은 경향을 보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도는 남조류 서식에 적합한 환경이 예년보다 일찍 조성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하고 선제 대응에 나선다.

도는 2025년까지 창녕 남지 기준 수질을 bod 2.0㎎/l, t-p 0.035㎎/l 이하 유지를 목표로 올해 1949억 원을 투입해 다양한 수질개선사업을 적극 추진해 수질오염원 저감으로 녹조 발생을 예방한다.

주요 사업으로는 1748억 원을 투입해 하수처리장 45개소, 하수관로 26개소 및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 4개소, 공공폐수처리시설 2개소 등 총 77개소 환경기초시설을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의령천, 양산천 등 5개소에 통합·집중형 오염하천 개선사업을 추진한다.

또한, 강우 시 농지·축산 밀집지역, 오염지류 및 도심 지역에서 유출되는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해 인공습지, 그린 빗물 인프라 조성사업 8개소, 완충 저류시설 2개소, 하천 쓰레기 정화사업에 총 201억 원을 투입한다.


★ 환경오염 주범 아보카도의 속사정?
http://www.ecomedia.co.kr/news/newsview.php?ncode=1065576803635213

아보카도에 숨겨진 불편한 진실

원산지에서는 공급량 확보를 위해 아보카도를 무리하게 경작하게 되면서 ‘피의 아보카도(blood avocado)’라는 닉네임이 생겼을 정도다.

아보카도는 비타민C와 단백질, 탄수화물 등 영양소가 풍부해 피부에 좋고 성인병에도 탁월한 예방효과가 있어서 국내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다. 특히 다이어트 식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해 포만감을 오래 유지해주어 다이어트에 효과적이며 소화를 돕고 혈당을 낮추는 효능이 있다.

2010년 457톤에 불과했던 아보카도의 수입량은 꾸준히 증가해 2016년 2925톤, 2017년에는 무려 6000톤에 이르렀다. 이는 7년 사이 12배가 증가한 양이다.

이처럼 갈수록 증가하는 아보카도의 수요와 공급으로 인해 환경오염이 극심하게 유발되고 있다는 사실을 간과할 수만은 없는 일. 다량의 아보카도를 수송하는 데 소요되는 많은 에너지. 이로 인한 미세먼지는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다.

수천에서 수만 킬로미터에 달하는 이동거리로 생산과 유통, 사용, 폐기 등 제품 생산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탄소발자국이라고 한다. 이 탄소발자국 지표로 보면 아보카도 2개는 약 846g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

아보카도는 고대 이즈텍에서 ‘물을 많이 지니고 있다’는 뜻을 가진 ‘아후아카틀(Ahuacatl)’에서 유래했다고 전해진다.
또 아보카도 한 알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성인 1명이 6개월간 마실 수 있는 320L의 물이 필요하다고.

이외에도 아보카도의 재배면적이 넓어지면서 1990년대 20㎢에 불과하던 것이 최근 약 160㎢로 약 8배나 급증하면서 열대우림의 환경파괴가 심각해지고 있다.

슈퍼푸드로 각광받고 있는 아보카도. 고소하고 몸에도 좋지만 심각한 물 부족 문제, 지구온난화 및 미세먼지 문제, 신림파괴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아보카도 과연 이대로 계속 먹어도 좋은 걸까.

<자료출처: 환경부 공식 블로그>


☆ [국내입찰정보] 익산시 함라면 저수지 인근 논 오염된 토양정화처리 용역(긴급)
http://keia.kr/bbs/board.php?bo_table=b3&wr_id=3400

공고번호 : 제20200408044- 00호

http://www.g2b.go.kr:8081/ep/invitation/publish/bidInfoDtl.do?bidno=20200408044&bidseq=00&releaseYn=Y&taskClCd=5




Thursday, April 02, 2020

2020년 14주차 환경소식

★ 환경부, '비점오염저감시설 성능검사' 관련 규정 제정...10월부터 시행
http://www.water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3921

환경부는 30일 도로, 택지 등에서 강우 시 하천으로 흘러 들어가는 비점오염물질을 줄이는 시설의 성능검사를 위한 구체적 방법과 절차에 관한 규정을 제정·공포한다고 밝혔다.
이번 규정 고시에 따라 올해 10월 17일부터 비점오염저감시설을 제조·수입하는 자는 성능검사를 받는 제품만 저감시설 설치의무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비점오염저감시설 성능감사제도 절차도 (사진=환경부 제공)


★ "유역수도지원센터 설립 근거 마련했다" 환경부, '수도법' 개정안 공포...내년부터 시행
http://www.water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3926

수돗물 안전관리 종합대책 추진을 위한 법안이 마련됐다.

환경부는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수도법’ 일부개정안이 공포된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수도법 개정은 작년 11월 마련된 수돗물 안전관리 종합대책의 후속 추진 정책을 법제화한 것으로 2021년 3월 31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이번 수도법 개정의 세부 내용은 ▶상수도 관망 관리 강화 제도 도입 ▶지자체 상수도 시설 관리 의무 강화 ▶유역수도지원센터의 설립·운영 근거 마련 등이다.
환경부에 따르면 전문적이고 효율적인 상수도 관망 관리를 위해 상수도관망관리 대행업 제도와 상수도관망시설운영관리사 자격 제도를 신설한다.
또 지자체 장은 수질오염 우려가 있는 지역을 상수도관망 중점관리지역으로 지정해 관리할 수 있다.

중점관리지역은 수질 초과 사례, 노후관로가 많은 구간 등 수돗물 수질사고 발생 우려 지역으로 지자체가 선정한다.
환경부는 유역수도지원센터가 설치되면 ▶위기대응관리 ▶시설진단지원 ▶유수율 제고 ▶수질관리지원 등의 기능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코로나19, 경제활동에는 악영향...하지만 지구환경에는?
http://www.ecomedia.co.kr/news/newsview.php?ncode=1065597061761779

역설적이게도 판데믹으로 인해 영향을 크게 받는 지역의 공해수준이 눈에 띌만한 변화를 보여줬다. 물고기는 맑은 베니스의 운하에서 헤엄치며 중국, 이탈리아, 뉴욕의 대기오염 수치도 하락했다. 또한 중국 베이징과 이란 이스파한의 심하게 오염된 대기질에서 이제 맑고 선명한 하늘을 볼 수 있다.


☆ [국내입찰정보] 대기오염물질 자가측정 관리 위탁용역(긴급)
http://keia.kr/bbs/board.php?bo_table=b3&wr_id=3374

공고번호 : 제20200353886- 00호

http://www.g2b.go.kr:8081/ep/invitation/publish/bidInfoDtl.do?bidno=20200353886&bidseq=00&releaseYn=Y&taskClCd=5

Thursday, March 26, 2020

2020년 13주차 환경소식

★ 빗물박사 한무영 교수, ‘모모모 물관리’ 발간
http://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20875

기후위기는 결국 물과 불의 문제…빗물로 해결 가능
본지 기고한 칼럼 모아 책자로, 일반인도 쉽게 이해

빗물박사로 불리는 한무영 서울대 교수가 ‘기후위기를 해결을 위한 모모모 물관리’라는 책자를 냈다.

모모모 물관리는 기후위기 해결을 위해서는 빗물을 제대로 관리해야 한다는 새로운 물관리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물관리 철학과 정책제안 ▲빗물관리 ▲물수요관리 ▲다목적 분산형 빗물관리 ▲대한민국의 하늘물 이니셔티브에 대한 그의 톡톡 튀는 아이디어와 정책제안이 담겼다.


★ ‘물과 로봇 도시’ 에코델타시티 개발 ‘순항 중’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0031919150518762

물 관리 노하우 전역에 도입
스마트정수장 분산 배치
의료로봇 재활센터 등 설립

부산 강서구에 조성되고 있는 에코델타시티가 올해 단독주택·공동주택·유통판매용지 등을 잇따라 건설업체에 분양하면서 개발사업이 순조롭게 추진되고 있다.


★ 가로수, 도시 물순환체계 개선에 활용 필요
http://www.jej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59861

국회입법조사처, 도시 개발에 저영향 개발 반영한 건전한 생태계 유지도

국회입법조사처(처장 김하중)가 23일 ‘가로수 식재를 활용한 기후변화 대응 도시 물순환 체계 개선 방안’을 주제로 발간한 ‘이슈와 논점’ 보고서에서 제기됐다.

개선 방안으로는 물순환 기본 개념을 가로수 관리에 계획단계부터 도입시키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성이 제기됐다.

가로수 조성을 위한 기본계획의 수립 단계부터 물순환 체계에 대한 개념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하고, 관련 지침을 서로 연계해 개정하고, 가로수 식재 비중을 확대할 수 있도록 재정 지원을 하고 전문 인력을 양성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다.

또 도시 개발에 있어서 저영향 개발의 개념을 반영해 건전한 생태계 유지를 위한 지속가능한 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안동시, ‘물순환 선도 도시’ 위상 강화
http://www.newswork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41851

6년 연속 최우수(우수) 기관으로 선정

안동시가 경북도에서 실시한 ‘2020년도 세계 물의 날’ 기념 기관 평가에서 ‘최우수기관’으로 선정됐다.

출처 : 뉴스웍스(http://www.newsworks.co.kr)


★ 코로나의 역설?… 미세먼지 확 줄었다
http://www.segye.com/newsView/20200324516875?OutUrl=naver

1~3월 서울지역 농도 19~50% ↓ / 中공장 가동 중단·외출 자제 영향 / “계절 관리제 시행 등 복합 작용”

올 들어 서울 지역 미세먼지(PM10) 농도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0∼50% 정도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미세먼지가 1년 새 크게 줄어든 요인으로는 △계절관리제 등 정책적 효과 △포근했던 날씨 등 기상적 요인 △코로나19 확산 등에 따른 국내외 배출량 감소 등이 꼽힌다.


☆ [국내입찰정보] 월성교 우수토실 비점오염저감사업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
http://keia.kr/bbs/board.php?bo_table=b3&wr_id=3353

공고번호 : 제20200345199- 00호

http://www.g2b.go.kr:8081/ep/invitation/publish/bidInfoDtl.do?bidno=20200345199&bidseq=00&releaseYn=Y&taskClCd=5


Thursday, March 19, 2020

2020년 12주차 환경소식

★ 서울시, 올해부터 공공하수도사업 녹색설계 의무화
http://www.conslove.co.kr/news/articleView.html?idxno=63571

사회 기반시설 정비시 자연생태시설 함께 설치

서울시는 도시화로 악화된 자연 물순환 기능을 회복하고 도시열섬 완화 등 쾌적한 도시환경 조성을 위해 올해부터 공공하수도사업에 ‘녹색 인프라 기술’을 도입하여 빗물의 직접유출을 낮추고 시민친화적인 녹색설계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녹색 인프라 구축사업은 아스팔트와 콘크리트로 포장된 도로에 식생·토양으로 이루어진 빗물흡수 시설(녹색 Infra)을 융합 설치하는 것으로, 도시의 자연물순환 회복 뿐 아니라 빗물 유출을 줄이고 하수도공간 효율성에 효과가 있어 방재시설 확대 설치 등 사업비 측면에서도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그간 시에서는 도시화와 기후변화로 인해 악화된 자연 물순환을 회복하고자 ´05년 전국 최초로 ‘서울시 물순환 회복 및 저영향개발 기본 조례’를 제정하고 저영향개발(LID, Low-Impact Development) 사전협의제도를 시행해 왔다.

특별히 올해부터는 기존 사업에서 한발 더 나아가 도시화가 심화된 서울의 도시특성을 고려하여 녹색 인프라 구축을 위한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 예정이며, 우선적으로 공공하수도사업부터 녹색 인프라 기술을 선도적으로 적용하기로 하였다.


★ 행복청, '2020년 기반시설국 주요 업무 추진계획' 발표
http://www.newstnt.com/news/articleView.html?idxno=51404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청장 김진숙, 이하 행복청)은 18일 ‘2020년 기반시설국 주요 업무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이날 기반시설국은 주요 업무 계획으로 행정중심복합도시(이하 행복도시) 건설 종합사업관리·간선급행버스체계(이하 BRT) 기반 대중교통 이용편의 향상·광역도로망 구축, 친환경 스마트 에너지도시 건설 등 2020년 중점 추진과제에 대한 세부 추진계획을 발표했으며, ▲ 주요 사업 공정계획 수립·운영을 통해 행복도시 건설사업 체계적 관리 계획 ▲ BRT 기반 광역대중교통 이용편의를 향상하고, 충청권 상생발전을 위한 광역적 철도망 구축을 추진해 나갈 계획 ▲ 광역상생발전 기반 구축을 위한 행복도시권 광역도로망 건설을 원활 추진 ▲ 행복도시를 친환경 스마트에너지 도시로 건설해 나갈 계획 등을 제시했다.


★ 광주시, 인공지능 산업 육성 등 총선 공약 30개 사업 건의
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2003126894Y

광주시는 인공지능 중심 산업 혁신, 노사 상생 경제도시 구현 등 21대 총선 공약으로 제안할 30개 사업을 확정했다.

환경 안전 분야에서는 물순환 선도도시 조성 등을, 도시교통 분야에서는 광주 송정역 KTX 투자선도 지구 개발과 서남권 중심 광주송정역 역사 증축, 자치 혁신 분야에서는 공공기관 추가 이전을 통한 미래 도약 기반 구축을 요청했다.


☆ 비점오염저감시설 유지관리용역
http://keia.kr/bbs/board.php?bo_table=b3&wr_id=3328

공고번호 : 제20200331023- 00호

http://www.g2b.go.kr:8081/ep/invitation/publish/bidInfoDtl.do?bidno=20200331023&bidseq=00&releaseYn=Y&taskClCd=5

Friday, March 13, 2020

2020년 11주차 환경소식

★ 서울 하수도에 빗물 흡수시설 설치하기로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200312/100121909/1

서울시가 올해부터 공공하수도 사업에 빗물의 직접 유출을 낮추는 ‘녹색 인프라 기술’을 도입한 녹색 설계를 시행한다고 11일 밝혔다.

녹색 인프라 구축 사업은 아스팔트와 콘크리트로 포장된 도로에 식생·토양으로 이뤄진 빗물 흡수시설을 설치하는 것이다. 도시의 자연 물순환을 회복시키고 빗물 유출을 줄여 하수도 공간 효율성을 높인다.

서울시는 도시화로 1960년대 7.8% 수준이었던 불투수율(포장, 건물 등으로 덮여 빗물이 침투할 수 없는 면적의 비율)이 2015년 48.9%까지 높아지는 등 물순환이 악화된 것으로 보고 있다. 서울시는 올해 64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서울시 물순환 회복 기본계획을 세워 빗물마을 5곳을 새롭게 만들고 빗물 관리시설도 확충한다.


우선 공공하수도 사업에 녹색 인프라 기술을 적용한다. 서울시는 매년 약 200km의 노후·불량 하수관을 정비하는데, 이 중 절반 정도는 도로 굴착 및 포장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녹색 인프라 설치가 가능하다. 서울시는 녹색 인프라 설치를 통해 도시 열섬현상이 완화되는 한편 하수도에 대한 시민 인식도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인간과 자연이 함께 누리는 건강한 물 구현
http://2we.co.kr/news_view.jsp?ncd=6797

스마트 상수도관리체계 구축, 노후상수도 정비로 깨끗한 수돗물 공급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인간과 자연이 함께 누리는 건강한 물' 비전 실현을 위한 2020년도 물관리 분야 업무계획을 공개했다.

3대 국민체감 핵심과제

첫째, 유역별 통합물관리로 물이용 갈등을 해소한다.

둘째, 물관리 혁신으로 깨끗한 수돗물을 공급한다.

셋째, 미세먼지·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물분야 친환경 에너지를 육성한다.

5대 정책방향

[정책방향 1] 통합물관리 체계 정착

[정책방향 2] 지천부터 하구까지 건강한 물환경 조성

[정책방향 3] 지속가능한 물이용 보장

[정책방향 4] 국민 안전을 책임지는 물재난 대응 체계 구축

[정책방향 5] 녹색전환을 위한 새로운 물가치 창출


★ 당진시, '민·관합동' 담수호 수질개선 대책협의회 개최
http://www.water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3797

충남 당진시는 11일 시청 소회의실에서 김홍장 당진시장을 주재로 2020년 담수호 수질개선 대책협의회를 개최했다.


★ 2020년(2019년도 기준) 화성시 진위천수계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이행평가 용역
http://keia.kr/bbs/board.php?bo_table=b3&wr_id=3308

공고번호 : 제20200321265- 00호

http://www.g2b.go.kr:8081/ep/invitation/publish/bidInfoDtl.do?bidno=20200321265&bidseq=00&releaseYn=Y&taskClCd=5


Thursday, March 05, 2020

2020년 10주차 환경소식_03/05

환경부, 2020년 물관리 업무 '청사진' 발표

http://www.ikld.kr/news/articleView.html?idxno=214651

3대 국민체감 핵심과제

첫째, 유역별 통합물관리로 물이용 갈등을 해소한다.
둘째, 물관리 혁신으로 깨끗한 수돗물을 공급한다.
셋째, 미세먼지·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물분야 친환경 에너지를 육성한다.

5대 정책방향

[정책방향 1] 통합물관리 체계 정착
[정책방향 2] 지천부터 하구까지 건강한 물환경 조성
[정책방향 3] 지속가능한 물이용 보장
[정책방향 4] 국민 안전을 책임지는 물재난 대응 체계 구축
[정책방향 5] 녹색전환을 위한 새로운 물가치 창출


강동구, 주민 손으로 ‘친환경 빗물마을’ 만든다

http://www.lafent.com/inews/news_view.html?news_id=125954

강동구(구청장 이정훈)가 버려지는 빗물을 모아 에너지로 재활용하고 침수피해 예방, 열섬현상 완화 등 기후변화에 대처하는 ‘친환경 빗물마을’ 조성에 나선다.
‘빗물마을’은 빗물 침투와 재이용이 가능하도록 빗물관리시설을 집중 설치해 물 순환을 회복하는 친환경 마을이다. 거리에는 콘크리트 대신 빗물이 잘 스며드는 투수블록을 사용하고, 빗물정원과 빗물저금통을 설치해 모은 빗물을 화단을 가꾸거나 청소할 때 활용한다.

Monday, March 02, 2020

2020년 10주차 환경소식

정부, 기후·환경 원천기술 R&D에 총 98억 투입

http://www.greenpost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4729

기후변화 위기가 가속화 되는 가운에 정부가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원천기술개발에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28일부터 다음 달 30일까지 총 98억원 규모의 기후·환경 분야 신규과제를 공고하고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2020년 기후·환경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울산시 빗물이용시설 설치비 90% 지원

https://www.fnnews.com/news/201902270929051134

울산시가 ‘2019년 소규모 빗물이용시설 설치 지원사업’을 추진한다.

빗물이용시설은 건물의 지붕, 벽면 등에서 모은 빗물을 저장하였다가 조경용수, 청소용수, 농업용수 등의 용도로 사용하는 시설로 빗물 집수, 여과, 저장, 송·배수 시설 등으로 구성된다.

지원대상은 지붕면적 200㎡ 이하의 건축물에 설치하는 빗물이용시설로 1000만 원 이내에서 공사비의 90%까지 지원한다.


환경부, 코로나-19 폐기물 안전관리 '촉각'

http://www.ikld.kr/news/articleView.html?idxno=214433

환경부 장관, 전국 환경유역청장 영상회의 소집
코로나-19 관련 폐기물 안전관리대책 추진 긴급 논의


[국내 입찰정보] 장수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

http://www.g2b.go.kr:8081/ep/invitation/publish/bidInfoDtl.do?bidno=20200247598&bidseq=00&releaseYn=Y&taskClCd=3

공고번호 : 제20200247598 - 00호

Friday, February 28, 2020

2020년 8주차 환경 소식

세종시, 쾌적‧안전한 환경 및 자연이 숨쉬는 도시 조성

http://www.newstnt.com/news/articleView.html?idxno=48225

이두희 환경녹지국장 제273회 정례브리핑에서 '2020년 환경녹지국 주요 업무계획' 발표

▲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 조성

-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해 수질오염 총량관리제를 추진하고, 각종 개발사업에 저영향개발기법(LID:Low Impact Development)을 도입하는 한편 하천 생태건강성 향상을 위해 조치원읍 남리 비점오염 저감시설 설치와 문곡천 생태하천 복원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축산 오염원 저감을 위해 가축분뇨 에너지화 사업을 위한 타당성 조사와 무허가 축사 적법화를 완료하겠다.

▲ 자원순환형 친환경 청결도시 조성

- 인구증가에 따라 늘어나는 생활폐기물의 안정적 처리를 위한 친환경종합타운 조성과 관련하여 폐기물처리시설 특별회계 설치 및 운용조례 제정과 기본계획 수립 및 타당성 조사를 실시하고, 위치선정을 위한 입지선정위원회를 구성하겠다.

▲ 깨끗한 물 공급을 통한 시민만족도 향상

- 수돗물의 신뢰도 향상과 물 공급 서비스 제고를 위한 스마트워터시티(SWC)사업을 마무리하고, 상수도 통합관제센터를 건립하는 등 안전한 물 공급체계를 구축하겠다.

▲ 시민이 함께하는 도시숲, 품격 있는 도시공원 조성

- 산지의 경제적‧공익적 가치를 높이기 위해 산지전용 허가기준과 사후관리 방안을 강화하고, 나무심기와 경제림 육성 및 공익림 관리를 위해 조림지 가꾸기(250ha), 어린나무 가꾸기(80ha), 큰나무 가꾸기(10ha) 등 숲가꾸기 사업을 추진하겠다.

저영향개발기법(LID:Low Impact Development)이란 빗물의 표면유출을 줄이고 토양 침투를 증가시켜 홍수예방과 지하수 확보하여 도시 열섬현상 완화 등 도시경관 개선과 물순환 회복을 도모하는 친환경 개발기법이다.



부산시, 비점오염 저감시설 규제개선…전국 우수사례 선정

http://daily.hankooki.com/lpage/society/202002/dh20200213142700137890.htm

오시리아관광단지 수질오염 저감시설 재설치비 60억원 절감



수원 남양주 등 7개 시군 토양 오염 확인

http://www.newstouch.site/news/articleView.html?idxno=4530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도내 토양오염 실태조사

오염도 기준치 초과 정화절차 진행 중,

산업단지 및 공장지역 토양오염 심해



[국내 입찰정보] 석수공공하수처리장 악취개선사업 실시설계 용역

http://keia.kr/bbs/board.php?bo_table=b3&wr_id=3239

공고번호 : 제20200234055 - 00호

2020년 36주차 환경소식

   ★  내년 환경부 예산 11조…4.5조는 ‘그린뉴딜’ http://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960161.html 올해보다 17.5% 늘어…“기후위기 대응·녹색산업 성장에 집중” 내년 환경부 소관 예산...